군장(郡將)
백제시대의 관직. # 내용
지방편재 단위의 하나인 군의 행정 및 군사책임자이다. 백제의 지방통치조직은 웅진시대(475∼538) 후기에 접어들자 기존의 담로제도(檐魯制度)에서 벗어나 방(方)·군(郡)·성(城) 체제로 정비되었다.
지배질서의 확립과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방·군·성 체제는 전국을 크게 다섯 개의 방으로 나누고, 각 방은 규모에 따라 10개 내지는 6, 7개의 군을 설치한 것이다. 백제 말기에는 전국적으로 37개의 군이 있었으며, 이들 군에는 200개의 성이 있었다.
즉, 각 군은 5∼6개의 성을 ...